“끝날 때까지는 끝난 게 아니다” 전설적인 야구선수 요기 베라의 이 말처럼, 우리 시대의 이별은 더 이상 한 번의 헤어짐으로 끝나지 않는다. 24시간 휴대전화를 비롯한 각종 모바일 기기로 끊임없이 연결된 시대에서, 오프라인에서의 이별은 더 이상 완전한 이별을 뜻하지 않는다. 헤어지고 싶어도 헤어지지 못하고, 사랑과 이별 그 어떤 선택에서도 헤어나지 못하는 어정쩡한 상황을 반복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백영옥 작가는 이러한 현 세태가 이제는 “한 개인의 의지 문제가 아닌, 구조의 문제가 되어가고 있다”고 말한다. <어제의 이별학>은 그러한 작가의 생각을 담아낸 한 편의 소설이자, 사랑하지도 이별하지도 못하는 사람들에게 전하는 그만의 문장 처방전이다.
학습과 자기계발에 길들여진
요즘 젊은 세대가 습득해나가는 ‘서스펜스 이별학’
이 소설의 주인공 선경은 모든 것들을 ‘공부’하는 것으로 삶의 난관을 돌파해왔다. 감정보다 학습이 먼저였고, 이해보다 분석이 먼저였다. 백영옥 작가는 이별의 순간조차도 자기계발의 소재로 삼고자 하는 주인공 선경을 통해, 현대적 의미에서의 ‘실용성’ 혹은 ‘효율성’에 대한 강박이 사랑과 이별을 맞는 지금 이 시대 청춘들의 내면에 어떠한 파동을 일으키는지 보여준다.
매일매일 이별 중인 선경이 헤어진 전남친 태정과 의문의 남자들과 얽히고설켜 만들어내는 이야기 속 중간 중간에는 역사학자, 과학자, 심리학자 등이 등장하며 이론적인 근거들이 속속 펼쳐진다. 이 이야기에 어제의 ‘이별학’이라는 제목이 붙은 이유다. 작가는 사랑과 이별의 순간 속에서도 누군가의 객관적인 ‘근거’를 찾고자 하는 요즘 사람들을 위해, 이러한 장치들을 긴장감 넘치는 이야기 속에 엮어 설계했다. 최대한 자신의 감정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면서 온전히 나 자신을 위한 현명한 선택이 무엇인지, 사랑의 본질이 무엇인지 독자로 하여금 스스로 묻고 깨닫게 한다.
이별하지도 사랑하지도 못하는 요즘의 많은 사람들이, 백영옥 작가가 펼쳐낸 이 특별한 ‘서스펜스 이별학’을 통해, 새로운 시대의 달라진 이별 풍경에 저마다의 마음의 방패 하나씩은 갖게 되길 바란다
책 리뷰 뭔가 오랜만인 것 같네요~ 답지 않게 연애 얘기를 읽어봤어요. 음... '연애세포 좀 깨워볼까?'하는 생각으로 처음 서재에 넣었는데, 읽기 시작한지 10분...? 지나니까 오히려 연애하기 싫다는 결론을 내리게 해준 책이에요 ㅋㅋㅋㅋㅋㅋ 사랑은 나쁘다, 연애는 별로다. 이런 책은 아니구요, 당연히. 음... 지금 생각해보면 인생에 대한 책이었던 것 같아요.
스토리를 간단하게 말해볼게요. 선경은 이별한지 얼마 안 된 여자예요. 헤어진 남자친구를 잊기 위해 마카롱 보험도 들고, 바쁘게 살아도 보지만 결국은 전 남친의 SNS를 서치하기 시작하죠. 차단과 염탐을 반복하면서. 그러다 전 남친을 사칭한 어떤 사람의 SNS를 발견하고.......... 뭐 이런 내용이에요. 사실 이별 얘기를 하길래 술술 읽고 있었는데, 사칭 SNS 얘기가 나오면서 ㅋㅋㅋㅋㅋ '응? 수사물?' 이러면서 더 집중했던 걸로 기억해요 ㅋㅋㅋㅋ 그런 내용은 아니지만요.
사실 책을 읽은지 좀 돼서 자세히 리뷰할 자신이 없는데, 추천은 하고 싶어서... 포스팅하고 있으니까 예쁘게 봐주세요.
책은 금방 금방 읽었는데, 필사하고 싶은 문장이 많아서 오래 걸렸어요...
문장이 정말 좋아요. 연애와 이별 얘기를 하고 있지만, 결국 인생 얘기처럼 다가왔거든요. 문체 자체가 저랑 잘 맞는 것도 같구요. 이렇다 할 특징이 있는 문체는 아니에요, 굳이 설명하자면 간단하고 어렵지 않아요.
이 소설에서 나오는 마카롱 보험이란 말을 참 좋아해요. 귀엽잖아요 ㅋㅋㅋㅋ 마카롱을 사면 행복을 보장받는다는 뭐 그런 느낌이에요 귀여워~!
음, 소설 자체는 그냥 그래요. 흔한 이별 얘기고, 결말도 그냥 그렇고. 반전도 있긴 한데, 예상 못한 반전이긴 한데... 큰 임팩트는 없어요. 그냥, 문장이 좋으니까 추천한다고 생각해주세요!
제가 필사한 문장들을 보고, 제가 왜 인생을 얘기하는 책이라고 말했는지 알아차렸으면 좋겠어요.
아보카도를 '재미없는 사람이 던진 망한 농담 같은 맛'이라 표현했던. || 백영옥, 어제의 이별학
사심이 아주 가득 들어간 문장입니다. 제가 아보카도를 별로 안 좋아하거든요 ㅋㅋㅋㅋㅋ 완전 마음에 드는 표현이에요.
오늘따라 글씨가 더 더러워보여서 창피하네요. 그래도... 꼭꼭 좋은 문장을 함께 보고 싶었어요. 이 문장들만 보고 끝나는 게 아니라, 이런 문장들이 더 많이 있는 책을 읽어주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이 책을 읽고 나서 느낀 점은 좋은 어른을 만난 기분이었습니다. 물론 주인공은 선경은 아직 성장 중이지만요, 작가님에게 뭔가 배운 기분이었어요.
저는 연애경험도 많고, 짧게도 길게도 해봤고. 받기만 하는 연애도 해보고, 주기만 하는 연애도 해봤고, 여튼 이것저것 다 해봤다고 생각하거든요. 근데, 헤어지고 나서 힘들었다거나 미련이 남았다거나 전 연인의 SNS를 찾아보거나... 이 소설의 주인공처럼 행동한 적이 없어요. 그래도 이해는 돼요. 세상에는 다양한 사람이 있고, 다양한 형태의 사랑이 있는 법이니까. 선경이 제 친구였으면 그저 말 없이 맛있는 거 먹으러 가자고 했을 거예요. 이 소설의 끝은 마치 선경이 새로운 사랑을 만나는 것처럼 끝나요. (이 부분은 열린 결말이라 생각해요.) 이것도... 인생 얘기를 하신 거 아닐까 생각해요. 끝이 있으면, 시작도 있다는 뭐 그런. 꼭 연애나 사랑에만 해당되는 얘기가 아니니까요.
가볍지만 즐겁게 읽었습니다. 덕분에 저는 앞으로도 연애할 일은 없을 거예요. (?)
10점 만점에 8점.
'Review >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스트 젤리 샷 (0) | 2024.06.28 |
---|---|
서점의 명탐정 (0) | 2020.08.23 |
우울할 땐 뇌과학 (0) | 2020.07.18 |
나는 매주 시체를 보러 간다 (0) | 2020.07.09 |
월요일이 없는 소년 (0) | 2020.07.05 |